러시아는 에너지 대국이다. 전 세계 원유 생산량 세계 2위(약 61%), 매장량은 세계 6 위(12.7%)라는 수치가 말해주듯 에너지 기반 산업구조다. 이러한 산업구조는 유가 및 천 연가스 시장변화에 따라 경제성장과 재정수입이 좌우된다. 러시아의 원유, 휘발유와 천 연가스는 전체 수출 비중의 60% 이상이다. 이는 재정수입의 50%를 차지하는 규모로 GDP의 24%가 에너지 경제에 의존하고 있다.
세계사에서 식량과 에너지는 국가 생존에 필수불가결 한 요소다. 지난 30년간 러시아 는 경제개발의 마중물로서 에너지 수출을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에트연방 이후 붕 괴 됐던 경제를 서방과 겨룰 수 있을 정도로 급속히 발전시켰다. 에너지 기반 재정수입 으로 러시아는 중장기 사회 인프라 확충을 단행했고 서유럽에 비해 뒤쳐진 공산품 조달 수급을 주도하며 강대국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자원시장은 제조업과 달리 국제시장 경쟁이 제한되어 있고 대체로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독점사업이다. 무엇보다 안정적인 수출 판로 확보가 보장된 산업이다. 에너지 자산 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다시 선진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는데 재투자 되어 스스로 자생, 자강할 수 있는 선순환 기술도 동시 획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양날의 검처럼 에너지 의존 경제는 외부적 충격에 약한 단점을 가진다. 주요 수출품목인 석유와 가스의 국제가격은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이 심한 분야다. 원유가 1 달러 감소할 때 마다 러시아 재정 수입은 약 14억 달러가 감소한다. 이러한 외부경제 환경 변화로 인해 러시아 정부 입장에서는 일관적인 재정정책을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 이 된다. 또한 에너지 수출로 수입된 외화 비중이 많아질수록 환율이 절하되거나 러시아 루블화 가치가 절상되면서 에너지 이외 산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단기간 대량 외화 유입은 에너지 산업 편중 산업구조를 만들고 이로 인해 다양한 분야 의 전후방 산업 성장을 막는 악재로도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가시적 GDP 증가에 따라 소비측면 과잉으로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이 발생, 경제 양극화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현재, 러시아의 주요 GDP 대비 산업구조는 광물(석탄, 철강, 니켈, 다이아몬드, 금, 백 금, 팔라듐 등)이 5%, 석유가스 GDP 9%, 농수산 4%, 금속 4%, 석유화학 2% 정도 수 준으로 자원의 존형 경제구조에서 크게 벗어나 있진 않다. 하지만 점진적인 경제체제 변 화의 흐름도 나타난다. 자동차 부품은 약 500억 달러 규모, 항공기는 300억 달러, 화장 품 91억 달러 등으로 주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기전자, 5G통신 등 ICT 분야에 대한 투자와 관심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러시아정부는 2008년 미국 발 경제위기, 2014년 크림반도 병합에 따른 경제제제로 에 너지 의존적 경제정책에서 혁신성장 기반 산업정책으로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 해 전자, 인터넷 중심 IT 산업은 지난 2010년에 비해 현재 눈에 띄는 발전을 보이고 있 다. 러시아 경제는 현재 서방의 경제제제를 오히려 자국 제조업 강화의 기반으로 활용하 며 생필품부터 컴퓨터 운영체제까지 그간 에너지 수출 자산으로 수입에 의존하던 경제 구조를 혁신하는 중이다. 특히 러시아의 자국 제조기반 산업 활성화에 맞춰 상용화 기술 에 대한 수요가 지속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협력국가로서 한국은 러측 핵심파트너로서 중요한 상대국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러시아와 한국 간 무역량 역시 2018년을 기점으로 연간 200억불을 넘는 등 지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금년은 한국과 수교한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지금이야 말로 한국에게는 러시아와 수교 이후 가장 큰 기회이자 도전일 것이다.
< 한·러 연도별 교역 현황 >
(단위 : 억불, %)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
수출 | 금액 | 111.5 | 101.3 | 46.9 | 47.7 | 69.1 | 73.2 | 77.8 |
증가액 | 0.5 | △9.1 | △53.7 | 1.8 | 44.8 | 6.0 | 6.2 | 수입 | 금액 | 115.0 | 156.7 | 113.1 | 86.4 | 120.4 | 175.0 | 145.5 |
증가액 | 1.2 | 36.3 | △27.8 | △23.6 | 39.3 | 45.4 | △16.9 | 총교역액 | 금액 | 226.4 | 258.0 | 159.9 | 134.1 | 189.5 | 248.2 | 223.3 |
증가액 | 0.9 | 13.9 | △38.0 | △16.2 | 41.3 | 31.0 | △10.1 | |
무역수지 | △3.5 | △55.4 | △66.2 | △38.7 | △51.3 | △101.8 | △67.7 |
※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참고: 한러 기술협력분야 발굴 조사 / 한러혁신센터 / 2019]
전체 보기
전체검색